꿈을 가진 사람은 행복합니다

Shining Tree를 푸르게 키워 주실 분은 김주연 님이에요.
달라스에서 17년 동안 학원을 운영하면서 학생들의 그림을 지도해 온 선생님이자 친구가 필요한 사람들의 따뜻한 지지자입니다.
무엇보다도 주연 님은 10년 넘게 일상의 소소한 이야기를 그림과 함께 글로 엮어내는 칼럼니스트에요.
각박한 우리네 일상생활에서 한 번쯤은 멈춰 서서 삶에 대해 생각을 해보게 되는 쉼터 같은 글을 소개하는 Shining Tree 입니다.

우리 자녀들에게 어떤 꿈을 심어줘야 할까요? 많은 사람들이 안정된 직업을 선호합니다. 같은 미술계에서도 순수 미술보다는 응용미술을 전공으로 더 선호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누구보다 자식이 성공하기를 바라는 부모 마음에서 사회적, 경제적으로 선호하는 안정된 직업이 우리 자녀들의 적성에도 맞다면 더할 나위가 없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평생을 즐길 수 있는 직업을 선택하여 즐겁게 하다 보면 성공은 당연히 따라오지 않을까요? 그 꿈을 이루기 위해 뛰는 사람, 행복합니다.

전 세계 290여 매장에서 연간 1조 원의 매출을 올리는 이탈리아의 패션 디자이너 조르지오 아르마니(74세)는 어린 시절 굳세고 야무진 여인이었던 어머니가 손수 군복이나 낙하산으로 만든 옷을 입고 자랐습니다. 그는 “수수하고 본질적인 것에 대한 내 취향은 적은 것을 가지고 잘 입혀 내보냈던 어머니의 능력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어머니의 영향에 대해 말합니다. 이런 그는 1970년대에 중성적인 우아함을 갖춘 실용적인 여성복으로 주름 장식으로 화려하게 멋을 낸 여성복 트렌드에 도전하여 세계적인 명품 브랜드를 일구어냅니다. 손재주가 뛰어났던 그는 좋아하는 일로서 성공을 거두며, 74세의 나이에도 아직도 현역으로 활동합니다.

한국계 디자이너로 미국에서 활동하는 리처드 채, 두리 정은 필자의 학생들도 올해 합격한 뉴욕의 명문 파슨스 학교를 졸업한 재원들입니다. 마크 제이콥스와 TSE 캐시미어의 디자이너를 지낸 리처드 채와 2006년 미국 패션디자이너 협회 신인 디자이너상과 스와로브스키 페리 엘리 소상 등을 수상한 두리 정은 패션계의 새로운 스타로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꿈을 가진 사람은 행복합니다. 그 꿈을 이루기 위해 뛰는 사람은 더욱 행복합니다. 그 성공을 같이 나눌 수 있는 어머니는 더더욱 행복하지 않을까요?

Share :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우리 기쁜 젊은 날, 떠나 볼까요?

만물의 영장인 인간뿐만이 아니라 모든 동물들의 삶을 보면 종족 보존의 법칙으로 후세를 보면 자연으로 돌아가는 게 이치인 것을 보면, 특별히 키운 것에 대한 공치사를 할 것도 없는데 쿨한 엄마라고 스스로 자처하던 필자도, 아이들이 성장하고 나이가 한 살 두 살 늘어나면서 그야말로 신파조로 ‘내가 너를 어떻게 키웠는데—‘하며 공치사를 남발 하고픈 마음이

왜 우리는 이기적일까?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옛말이 문득 생각이 나는데 옛날에는 아마 명예를 더 많이 중시했나 보다. 요즘의 세태를 보면 사람이 남기고 싶은 것은 과연 무엇일까 하는 궁금증을 자아낸다. 한 나라의 대통령을 지낸 일가도 외국에 세운 유령 회사를 통해 비자금으로 모아둔 돈이 흘러 나가 있는 것을 보면 명예는

4월의 카니발

21세기는 창의력의 시대라고 일컬어도 과언이 아닙니다. 창의력은 누구나 가지고 태어나지만 창의력이 키워지려면 주입식 교육이 아닌 창의력을 키워주는 교육 환경이 바탕이 되어야만 한다고 생각합니다. 창의력은 생각을 아이디어로 창출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머릿속에 떠오른 막연한 생각을 구체적으로 정리해서 남들과 다른 독창성을 가지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인 창의력은 급변하는 21세기에 회사의 흥망성쇠를 결정한다

의식의 반전

어느 즈음인지 모르게 나이 들어감을 인식하면서 건강과 안티 에이징이라는 문구를 접하면 더 호기심 있게 읽어보게 되고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을 느끼면서 상술에 유혹되는 건지 나이가 들어가는 것을 더 갑자기 유난을 떨면서 의식을 하게 된 건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운동을 정말 싫어하는 필자가 요즘 들어서 안 하던 스트레칭도 시작하고 운동에 관심을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어느 날 페르시아의 왕이 신하들에게마음이 슬플 때는 기쁘게기쁠 때는 슬프게 만드는 물건을 가져올 것을 명령했다. 신하들은 밤새 모여 앉아 토론한 끝에마침내 반지 하나를 왕에게 바쳤다.왕은 반지에 적힌 글귀를 읽고는크게 웃음을 터뜨리며 만족해했다.반지에는 이런 글귀가 새겨져 있었다.‘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슬픔이 그대의 삶으로 밀려와 마음을 흔들고소중한 것들을 쓸어가 버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