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싹 키우기

Shining Tree를 푸르게 키워 주실 분은 김주연 님이에요.
달라스에서 17년 동안 학원을 운영하면서 학생들의 그림을 지도해 온 선생님이자 친구가 필요한 사람들의 따뜻한 지지자입니다.
무엇보다도 주연 님은 10년 넘게 일상의 소소한 이야기를 그림과 함께 글로 엮어내는 칼럼니스트에요.
각박한 우리네 일상생활에서 한 번쯤은 멈춰 서서 삶에 대해 생각을 해보게 되는 쉼터 같은 글을 소개하는 Shining Tree 입니다.

몇 해 전에 미술사생대회에 학생들을 데리고 참가한 적이 있었습니다. 따뜻하고 화창한 날씨에 오랜만에 피크닉을 하는 것 같아 우리 모두 기분이 한층 즐거웠습니다. 호숫가에 그리고 싶은 위치에 자리를 잡고 학생들이 그리기를 시작한 후에 참가한 학생들의 그림을 둘러보기 시작했습니다. 모두들 진지하게 열심히 그리는 모습이 제법이었습니다. 

‘어라, 반가운 소나무가 있네!’ 둘러보던 중에 소나무 그림이 눈에 띄어 정겨워서 다가가서 주위를 살펴보았습니다. 그러고 보니 소나무는 없는데, 나무를 소나무로 그리는 아시아계의 학생들이 너무 많이 눈에 띄었습니다. 동양의 산수화에서 즐겨보는 소나무가 어린이들의 그림에서 그대로 재현되고 있는 모습이 민족혼을 갖게 하는 교육의 일환이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미술 교육으로는 영 찜찜하며 안타까웠습니다.

후에 시상식에 다녀온 학부형으로부터 다른 아이들의 그림이 다 비슷한데 반해 한 학생의 작품이 아주 독창적이어서 수상을 하게 되었다는 평을 들었습니다.

미술 교육은 고정적인 틀이 잡히지 않은 유아기부터 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자유로운 미술 활동을 통해 자신감과 표현력, 자유로운 사고를 할 수 있게 지도해 주는 것이 참으로 중요합니다. 필자는 어릴수록 미술교육을 통해 얻은 자신감으로 학교 성적까지 향상되는 학생들을 많이 접하곤 합니다. 현대는 이제 IQ(지성지수) 보다는 EQ(감성지수)가 더 필요하다는 시대라고 합니다. 어린 시기의 미술 교육은 소 근육 발달을 통한 IQ와 EQ의 동시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아래의 기린 그림은 손에다 그린 그림으로 이탈리아의 화가인 귀도 다니엘라의 작품입니다. 밀라노 출신의 귀도는 1990년부터 광고 캠페인을 위해 바디 페인팅을 시작하면서 손에다 채색하는 ‘특별한 회화’를 개발했습니다. 주로 앵무새, 독수리, 플라밍고 등 새와 자연을 소재로 그림을 그리고 있습니다.

창의성이 무엇보다도 강조되는 현대에 자녀와 집에서 놀이 삼아 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새싹을 물과 비료를 주며 가꿔야 잘 자라듯이 우리 자녀들의 마음도 공부와 더불어 함께 정성스레 가꾸어 주시기를 바래 봅니다.

작품명: Giraffe on Hand, by Guido Daniele

Share :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우리 기쁜 젊은 날, 떠나 볼까요?

만물의 영장인 인간뿐만이 아니라 모든 동물들의 삶을 보면 종족 보존의 법칙으로 후세를 보면 자연으로 돌아가는 게 이치인 것을 보면, 특별히 키운 것에 대한 공치사를 할 것도 없는데 쿨한 엄마라고 스스로 자처하던 필자도, 아이들이 성장하고 나이가 한 살 두 살 늘어나면서 그야말로 신파조로 ‘내가 너를 어떻게 키웠는데—‘하며 공치사를 남발 하고픈 마음이

왜 우리는 이기적일까?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옛말이 문득 생각이 나는데 옛날에는 아마 명예를 더 많이 중시했나 보다. 요즘의 세태를 보면 사람이 남기고 싶은 것은 과연 무엇일까 하는 궁금증을 자아낸다. 한 나라의 대통령을 지낸 일가도 외국에 세운 유령 회사를 통해 비자금으로 모아둔 돈이 흘러 나가 있는 것을 보면 명예는

4월의 카니발

21세기는 창의력의 시대라고 일컬어도 과언이 아닙니다. 창의력은 누구나 가지고 태어나지만 창의력이 키워지려면 주입식 교육이 아닌 창의력을 키워주는 교육 환경이 바탕이 되어야만 한다고 생각합니다. 창의력은 생각을 아이디어로 창출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머릿속에 떠오른 막연한 생각을 구체적으로 정리해서 남들과 다른 독창성을 가지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인 창의력은 급변하는 21세기에 회사의 흥망성쇠를 결정한다

의식의 반전

어느 즈음인지 모르게 나이 들어감을 인식하면서 건강과 안티 에이징이라는 문구를 접하면 더 호기심 있게 읽어보게 되고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을 느끼면서 상술에 유혹되는 건지 나이가 들어가는 것을 더 갑자기 유난을 떨면서 의식을 하게 된 건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운동을 정말 싫어하는 필자가 요즘 들어서 안 하던 스트레칭도 시작하고 운동에 관심을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어느 날 페르시아의 왕이 신하들에게마음이 슬플 때는 기쁘게기쁠 때는 슬프게 만드는 물건을 가져올 것을 명령했다. 신하들은 밤새 모여 앉아 토론한 끝에마침내 반지 하나를 왕에게 바쳤다.왕은 반지에 적힌 글귀를 읽고는크게 웃음을 터뜨리며 만족해했다.반지에는 이런 글귀가 새겨져 있었다.‘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슬픔이 그대의 삶으로 밀려와 마음을 흔들고소중한 것들을 쓸어가 버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