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해 전에 미술사생대회에 학생들을 데리고 참가한 적이 있었습니다. 따뜻하고 화창한 날씨에 오랜만에 피크닉을 하는 것 같아 우리 모두 기분이 한층 즐거웠습니다. 호숫가에 그리고 싶은 위치에 자리를 잡고 학생들이 그리기를 시작한 후에 참가한 학생들의 그림을 둘러보기 시작했습니다. 모두들 진지하게 열심히 그리는 모습이 제법이었습니다.
‘어라, 반가운 소나무가 있네!’ 둘러보던 중에 소나무 그림이 눈에 띄어 정겨워서 다가가서 주위를 살펴보았습니다. 그러고 보니 소나무는 없는데, 나무를 소나무로 그리는 아시아계의 학생들이 너무 많이 눈에 띄었습니다. 동양의 산수화에서 즐겨보는 소나무가 어린이들의 그림에서 그대로 재현되고 있는 모습이 민족혼을 갖게 하는 교육의 일환이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미술 교육으로는 영 찜찜하며 안타까웠습니다.
후에 시상식에 다녀온 학부형으로부터 다른 아이들의 그림이 다 비슷한데 반해 한 학생의 작품이 아주 독창적이어서 수상을 하게 되었다는 평을 들었습니다.
미술 교육은 고정적인 틀이 잡히지 않은 유아기부터 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자유로운 미술 활동을 통해 자신감과 표현력, 자유로운 사고를 할 수 있게 지도해 주는 것이 참으로 중요합니다. 필자는 어릴수록 미술교육을 통해 얻은 자신감으로 학교 성적까지 향상되는 학생들을 많이 접하곤 합니다. 현대는 이제 IQ(지성지수) 보다는 EQ(감성지수)가 더 필요하다는 시대라고 합니다. 어린 시기의 미술 교육은 소 근육 발달을 통한 IQ와 EQ의 동시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아래의 기린 그림은 손에다 그린 그림으로 이탈리아의 화가인 귀도 다니엘라의 작품입니다. 밀라노 출신의 귀도는 1990년부터 광고 캠페인을 위해 바디 페인팅을 시작하면서 손에다 채색하는 ‘특별한 회화’를 개발했습니다. 주로 앵무새, 독수리, 플라밍고 등 새와 자연을 소재로 그림을 그리고 있습니다.
창의성이 무엇보다도 강조되는 현대에 자녀와 집에서 놀이 삼아 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새싹을 물과 비료를 주며 가꿔야 잘 자라듯이 우리 자녀들의 마음도 공부와 더불어 함께 정성스레 가꾸어 주시기를 바래 봅니다.
작품명: Giraffe on Hand, by Guido Danie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