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듯 모를 듯

Shining Tree를 푸르게 키워 주실 분은 김주연 님이에요.
달라스에서 17년 동안 학원을 운영하면서 학생들의 그림을 지도해 온 선생님이자 친구가 필요한 사람들의 따뜻한 지지자입니다.
무엇보다도 주연 님은 10년 넘게 일상의 소소한 이야기를 그림과 함께 글로 엮어내는 칼럼니스트에요.
각박한 우리네 일상생활에서 한 번쯤은 멈춰 서서 삶에 대해 생각을 해보게 되는 쉼터 같은 글을 소개하는 Shining Tree 입니다.

책을 즐겨 읽는 필자이지만 감동으로 울어본 지는 정말 기억도 나지 않을 만큼 오래전이었는데 딸이 사 준 책을 읽으면서 오랜만에 가슴이 아려 펑펑 울고는 학생들에게도 읽어보라고 사서 권했던 책이 한 권이 있었습니다. 

‘숨결이 바람 될 때(When Breath Becomes Air)’라는 책으로 이 책의 작가이자 주인공이었던 스텐포드 대학 신경외과 레지던트였던 폴 칼라니티는 암으로 2년간 시한부 인생을 살면서 의사에서 환자의 삶으로 바뀐 시각에서 써 내려간 글이었습니다. 누구보다 열심히 산 그의 삶을 젊은 나이에 접어야 하는 그의 삶이 너무 안타깝고 남겨진 어린 딸과 아내가 너무 가여워서 마음이 아렸습니다. 그가 떠나더라도 남겨진 아내 루시가 행복해지기를 바랐던 그의 마음이 전해졌는지 그가 남긴 책을 통해 이루어진 인연이 있습니다. 유방암 선고를 받고 1년 6개월 동안 투병기인 ‘이 삶을 살지 않을 이유가 없다(The Bright Hour)’의 작가 니나 리그스의 남겨진 배우자 존입니다. 두 작품이 뉴욕 타임스 베스트 셀러에 오른 작품들로서 비슷한 시기와 나이에 배우자를 잃은 공통점으로 서로를 위로하다 만난 인연입니다.

떠나야만 하는 배우자들이 남겨지는 배우자가 행복해지기를 바라며 남긴 글을 통해 맺어진 인연을 기사로 접하면서, 참으로 우리의 인생은 알듯 모를 듯하다는 생각과 함께 누구보다도 그들의 인연을 먼저 떠난 배우자들이 축복해 주리라 믿습니다.

오스트리아 화가이자 빈 분리파 운동의 회원이었던 구스타프 클림트(1862-1918), 당시 보수적인 사회에 대항하고자 인간의 내면적인 의미를 미술을 통해 보여주고자 했던 구스타프 클림트의 작품 ‘물뱀 1’입니다. 결국은 모든 것이 사라지고 말 것이라는 죽음에 대한 거역할 수 없는 유혹과 이를 견디기 위한 불멸의 사랑을 보여주는 그의 작품에서 알듯 모를 듯한 우리 인생에 대한 해답이 있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알듯 모를 듯.

작품명: Wasserschlangen I (물뱀 1), 50cm x 20cm,1904 by Gustav Klimt

Share :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우리 기쁜 젊은 날, 떠나 볼까요?

만물의 영장인 인간뿐만이 아니라 모든 동물들의 삶을 보면 종족 보존의 법칙으로 후세를 보면 자연으로 돌아가는 게 이치인 것을 보면, 특별히 키운 것에 대한 공치사를 할 것도 없는데 쿨한 엄마라고 스스로 자처하던 필자도, 아이들이 성장하고 나이가 한 살 두 살 늘어나면서 그야말로 신파조로 ‘내가 너를 어떻게 키웠는데—‘하며 공치사를 남발 하고픈 마음이

왜 우리는 이기적일까?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옛말이 문득 생각이 나는데 옛날에는 아마 명예를 더 많이 중시했나 보다. 요즘의 세태를 보면 사람이 남기고 싶은 것은 과연 무엇일까 하는 궁금증을 자아낸다. 한 나라의 대통령을 지낸 일가도 외국에 세운 유령 회사를 통해 비자금으로 모아둔 돈이 흘러 나가 있는 것을 보면 명예는

4월의 카니발

21세기는 창의력의 시대라고 일컬어도 과언이 아닙니다. 창의력은 누구나 가지고 태어나지만 창의력이 키워지려면 주입식 교육이 아닌 창의력을 키워주는 교육 환경이 바탕이 되어야만 한다고 생각합니다. 창의력은 생각을 아이디어로 창출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머릿속에 떠오른 막연한 생각을 구체적으로 정리해서 남들과 다른 독창성을 가지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인 창의력은 급변하는 21세기에 회사의 흥망성쇠를 결정한다

의식의 반전

어느 즈음인지 모르게 나이 들어감을 인식하면서 건강과 안티 에이징이라는 문구를 접하면 더 호기심 있게 읽어보게 되고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을 느끼면서 상술에 유혹되는 건지 나이가 들어가는 것을 더 갑자기 유난을 떨면서 의식을 하게 된 건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운동을 정말 싫어하는 필자가 요즘 들어서 안 하던 스트레칭도 시작하고 운동에 관심을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어느 날 페르시아의 왕이 신하들에게마음이 슬플 때는 기쁘게기쁠 때는 슬프게 만드는 물건을 가져올 것을 명령했다. 신하들은 밤새 모여 앉아 토론한 끝에마침내 반지 하나를 왕에게 바쳤다.왕은 반지에 적힌 글귀를 읽고는크게 웃음을 터뜨리며 만족해했다.반지에는 이런 글귀가 새겨져 있었다.‘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슬픔이 그대의 삶으로 밀려와 마음을 흔들고소중한 것들을 쓸어가 버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