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가장 아름다운 순간

Shining Tree를 푸르게 키워 주실 분은 김주연 님이에요.
달라스에서 17년 동안 학원을 운영하면서 학생들의 그림을 지도해 온 선생님이자 친구가 필요한 사람들의 따뜻한 지지자입니다.
무엇보다도 주연 님은 10년 넘게 일상의 소소한 이야기를 그림과 함께 글로 엮어내는 칼럼니스트에요.
각박한 우리네 일상생활에서 한 번쯤은 멈춰 서서 삶에 대해 생각을 해보게 되는 쉼터 같은 글을 소개하는 Shining Tree 입니다.

지나간 세월의 흔적은 기억 속에, 지니고 있는 물건들 속에서 그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하며 함께 나이를 먹어가고 있는데 그중에서 제가 가장 마음이 가는 물건들은 추억이 담긴 손때 묻은 물건들입니다. 그중 한국에서 살 때 친정어머니와 쇼핑 중에 사은품으로 받은 머그컵은 15년 정도의 세월을 반영하듯이 컵 안에는 커피 얼룩이 그대로 지나간 세월을 반증해 주지만 볼 때마다 어머니와의 추억이 향수와 함께 떠올라서 못 버리고는 가끔씩 커피를 마시면서 추억도 함께 음미하고는 합니다. 그런 아끼는 추억품들은 사실 값비싼 물건도 아닌 지난 사진들, 무심히 간직해온 추억이 담긴 브로슈어, 영화표 또는 편지들입니다. 그 작은 물건들이 빛을 발하는 순간들은 그 세월이 함께 묻어나는 그들의 지니고 있는 추억의 무게가 아닐까 싶습니다.

가끔씩 보는 한국 드라마에는 현재 인기 있는 연예인들부터 중견 연예인까지의 모습을 보면서 느끼는 것이 한 가지가 있습니다. 언제부터인지 여성의 아름다움이 지나치게 외적인 아름다움으로만 평가되는 것 같더니, 이제는 세월이 지나는 흔적조차 느끼게 하고 싶지 않아서인지 너무 다 젊고 간혹은 낯설고 어색하게 아름다운 얼굴들을 많이 보게 됩니다. 외형적인 미는 아무래도 보이다보니 많은 공을 들이게 되고 내적인 아름다움을 가꾸는데는 누구나 소홀해지기 쉽습니다. 하지만 주변을 잘 살펴보면 내적인 아름다움을 지닌 사람이 더 마음에 자리를 차지하고 있지 않습니까?

지금도 영화사에 명화로 손꼽히는 ‘로마의 휴일’로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았던 미모의 할리우드 여배우 오드리 햅번은 영화에서 보였던 빼어났던 그녀의 미모보다 아프리카의 불쌍한 어린이들을 돌보는 유니세프 대사로 활동했던 주름진 얼굴의 미소가 더 아름답게 사람들에게 기억되고 있는 것을 보면 내적인 아름다움이 지닌 힘이 더 크다고 느껴집니다. 그럼에도 어쩌면 무한 경쟁시대의 현대에 사는 우리는 경쟁에서 낙오될까봐 초조한 마음에서 외형적인 아름다움 또한 우리를 지켜주는 동아줄로 착각하고 마냥 집착하는것은 아닐까요?

‘우아하게 가난해지는 법’의 저자 알렉산더 폰 쇤부르크는 독일의 귀족인 그는 직장을 읽고 실업 수당으로 끼니를 연명하기도 하며 체험을 통해 가난을 어떻게 받아들이며 우아하게 사는지를 알려주는 책을 출간하였는데, 그는 부자의 기준을 ‘네가 가진 것보다 덜 원하면 부자이고, 네가 가진 것보다 더 원하면 가난하다’라고 정의합니다. 우리의 삶의 전체를 이 말에 투영시켜 보면 외적인 아름다움도 결국 내가 어떻게 생각하며 자존감을 가지고 지키냐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지 않을까 싶습니다. 세기의 가수 마이클 잭슨도 그가 가지지 못한 것에 대한 동경이 그가 지닌 재능으로 이룬 부와 명예로도 그를 그다지 행복하게 지켜주지는 못했다는 생각이, 몇 년 전 그가 세상을 떠나던 날 그의 생애를 다루는 영상물을 보면서 묻어났습니다.

보다 진보하기를 추구하는 인간의 본성으로 인해, 우리들은 현대까지 눈부신 발전을 거듭 해왔다면 이제는 외적 성장에서 내적인 성장으로 전환해야 할 시점이 아닐까요? 많은 물질의 혜택과 풍요 속에서도 외로워하는 우리 자신들을 위하여—. 프랑스의 인상파 화가 르누아르 (Renoir, Pierre Auguste: 1841-1919)가 그린 ‘사마리 부인의 초상’을 보면 현대의 미의 관점에서 보면 다소 풍만하지만 현대에 사는 우리들의 눈에도 아직 아름답습니다. 이처럼 외적인 미는 시대에 따라 변해가겠지만 우리의 마음에 내재된 아름다움의 가치는 변하지 않습니다. 그 가치의 아름다움을 느끼는 지금 이 순간, 우리가 가장 아름다운 순간이 아닐까요?

작품명: ‘Portrait De Madame Samary’ by Renoir 사이즈:56*46 , 모스크바 푸시킨 박물관 소장

Share :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우리 기쁜 젊은 날, 떠나 볼까요?

만물의 영장인 인간뿐만이 아니라 모든 동물들의 삶을 보면 종족 보존의 법칙으로 후세를 보면 자연으로 돌아가는 게 이치인 것을 보면, 특별히 키운 것에 대한 공치사를 할 것도 없는데 쿨한 엄마라고 스스로 자처하던 필자도, 아이들이 성장하고 나이가 한 살 두 살 늘어나면서 그야말로 신파조로 ‘내가 너를 어떻게 키웠는데—‘하며 공치사를 남발 하고픈 마음이

왜 우리는 이기적일까?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옛말이 문득 생각이 나는데 옛날에는 아마 명예를 더 많이 중시했나 보다. 요즘의 세태를 보면 사람이 남기고 싶은 것은 과연 무엇일까 하는 궁금증을 자아낸다. 한 나라의 대통령을 지낸 일가도 외국에 세운 유령 회사를 통해 비자금으로 모아둔 돈이 흘러 나가 있는 것을 보면 명예는

4월의 카니발

21세기는 창의력의 시대라고 일컬어도 과언이 아닙니다. 창의력은 누구나 가지고 태어나지만 창의력이 키워지려면 주입식 교육이 아닌 창의력을 키워주는 교육 환경이 바탕이 되어야만 한다고 생각합니다. 창의력은 생각을 아이디어로 창출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머릿속에 떠오른 막연한 생각을 구체적으로 정리해서 남들과 다른 독창성을 가지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인 창의력은 급변하는 21세기에 회사의 흥망성쇠를 결정한다

의식의 반전

어느 즈음인지 모르게 나이 들어감을 인식하면서 건강과 안티 에이징이라는 문구를 접하면 더 호기심 있게 읽어보게 되고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을 느끼면서 상술에 유혹되는 건지 나이가 들어가는 것을 더 갑자기 유난을 떨면서 의식을 하게 된 건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운동을 정말 싫어하는 필자가 요즘 들어서 안 하던 스트레칭도 시작하고 운동에 관심을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어느 날 페르시아의 왕이 신하들에게마음이 슬플 때는 기쁘게기쁠 때는 슬프게 만드는 물건을 가져올 것을 명령했다. 신하들은 밤새 모여 앉아 토론한 끝에마침내 반지 하나를 왕에게 바쳤다.왕은 반지에 적힌 글귀를 읽고는크게 웃음을 터뜨리며 만족해했다.반지에는 이런 글귀가 새겨져 있었다.‘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슬픔이 그대의 삶으로 밀려와 마음을 흔들고소중한 것들을 쓸어가 버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