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보 전진

Shining Tree를 푸르게 키워 주실 분은 김주연 님이에요.
달라스에서 17년 동안 학원을 운영하면서 학생들의 그림을 지도해 온 선생님이자 친구가 필요한 사람들의 따뜻한 지지자입니다.
무엇보다도 주연 님은 10년 넘게 일상의 소소한 이야기를 그림과 함께 글로 엮어내는 칼럼니스트에요.
각박한 우리네 일상생활에서 한 번쯤은 멈춰 서서 삶에 대해 생각을 해보게 되는 쉼터 같은 글을 소개하는 Shining Tree 입니다.

며칠 전 모처럼 화창한 날씨로 지인과 커피를 마시며 한가로이 거리를 거닐며 담소하던 하루가 참 행복하게 떠오르며, 그 하루로 한 주가 참으로 여유로웠던 것 같습니다. 작은 휴식이 주는 행복의 파장은 생각보다 더 오래 지속되어 지금까지 생활에 신선한 활력을 주고 있습니다. 거창한 휴식을 한 것도 아니고 좋은 날씨 덕에 점심 식사 후에 친구와 잠시 걸어서 거리마다 흔한 스타벅스 커피를 사서 커피숍 밖에 있는 의자에 앉아서 두런두런 얘기를 나누다 온 평범한 일상이었는데 그냥 참 좋았습니다. 아마 좋은 날씨에 마음 통하는 친구와 우리의 살아가는 이야기를 편안하게 주고받던 그 분위기가, 한가한 거리 분위기와 맞물려 마음이 평화로웠던 것 같습니다. 

날씨로 인해 기분 좋은 반전처럼 경제지표도 기분 좋은 반전이 되어 호경기로 빨리 돌아섰으면  좋겠는데 현실은 아직 더디기만 합니다. 가중되는 취업난과 함께 ‘NG족(No Graduation)’이라는 신조어까지 생겨날 지경입니다. 더욱이 지난해부터 전 세계를 덮친 코로나 때문에 대학을 졸업한 많은 젊은이들이 직장을 구하지 못한 것이 현실입니다. 

이러한 취업난 속에 ‘인류 역사상 세계 제1의 부자 록펠러’(1839~1937)의 정신에 해답이 있을 것 같습니다. 상업 고등학교를 졸업 후, 하루에 6시간 구직활동을 했던 시절에 대해 그는 “나는 매일 일하고 있었습니다. 바로 일자리를 찾는 일 말이죠. 나는 매일 그 일에 내 모든 시간을 쏟았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노력하는 자세가 어느 때보다도 요구되는 시대가 아닌가 싶습니다.

이러한 도전 정신으로 뉴욕 패션계에 이름을 알리며 활약하고 있는 Richard Chai를 소개합니다. 뉴욕 태생인 그는 중학교 때 디자인에 관심을 보이자 Parsons의 야간 수업을 듣게 한 어머니의 지원에 힘입어 파슨스 디자인학교에 입학합니다. 학교에 재학하면서 제프리 빈, 갭 등에서 인턴십을 했으며 졸업 후, 프랑스 파리에서 수학하며 랑방에서 스케치, 아르마니 익스체인지에서는 보조 디자이너로 일을 합니다. 그 후 도나 카렌, 마크 제이콥스, TSE 수석 디자이너를 거친 후에 2004년 그의 이름으로 브랜드를 출시합니다. 

단순하고 절제된 스타일로 ‘미스터 클린’이라는 별명을 가지며 뉴욕 패션계를 주름잡고 있는 그의 옷은 오프라 윈프리, 드루 베리모어, 제니퍼 로페즈 등 많은 미국 연예인들에게도 사랑받고 있습니다. 경쟁이 치열한 패션계에서 열정과 도전정신으로 그만의 세계를 구축하며 선두를 달리고 있는 리차드 채의 활약이 봄 햇살처럼 한껏 움츠러든 학생들의 어깨를 환히 비추어 자신감으로 채워주었으면 합니다.

    Richard Chai Love _ Spring 2010 Ready-to-Wear

 

Share :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우리 기쁜 젊은 날, 떠나 볼까요?

만물의 영장인 인간뿐만이 아니라 모든 동물들의 삶을 보면 종족 보존의 법칙으로 후세를 보면 자연으로 돌아가는 게 이치인 것을 보면, 특별히 키운 것에 대한 공치사를 할 것도 없는데 쿨한 엄마라고 스스로 자처하던 필자도, 아이들이 성장하고 나이가 한 살 두 살 늘어나면서 그야말로 신파조로 ‘내가 너를 어떻게 키웠는데—‘하며 공치사를 남발 하고픈 마음이

왜 우리는 이기적일까?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옛말이 문득 생각이 나는데 옛날에는 아마 명예를 더 많이 중시했나 보다. 요즘의 세태를 보면 사람이 남기고 싶은 것은 과연 무엇일까 하는 궁금증을 자아낸다. 한 나라의 대통령을 지낸 일가도 외국에 세운 유령 회사를 통해 비자금으로 모아둔 돈이 흘러 나가 있는 것을 보면 명예는

4월의 카니발

21세기는 창의력의 시대라고 일컬어도 과언이 아닙니다. 창의력은 누구나 가지고 태어나지만 창의력이 키워지려면 주입식 교육이 아닌 창의력을 키워주는 교육 환경이 바탕이 되어야만 한다고 생각합니다. 창의력은 생각을 아이디어로 창출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머릿속에 떠오른 막연한 생각을 구체적으로 정리해서 남들과 다른 독창성을 가지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인 창의력은 급변하는 21세기에 회사의 흥망성쇠를 결정한다

의식의 반전

어느 즈음인지 모르게 나이 들어감을 인식하면서 건강과 안티 에이징이라는 문구를 접하면 더 호기심 있게 읽어보게 되고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을 느끼면서 상술에 유혹되는 건지 나이가 들어가는 것을 더 갑자기 유난을 떨면서 의식을 하게 된 건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운동을 정말 싫어하는 필자가 요즘 들어서 안 하던 스트레칭도 시작하고 운동에 관심을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어느 날 페르시아의 왕이 신하들에게마음이 슬플 때는 기쁘게기쁠 때는 슬프게 만드는 물건을 가져올 것을 명령했다. 신하들은 밤새 모여 앉아 토론한 끝에마침내 반지 하나를 왕에게 바쳤다.왕은 반지에 적힌 글귀를 읽고는크게 웃음을 터뜨리며 만족해했다.반지에는 이런 글귀가 새겨져 있었다.‘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슬픔이 그대의 삶으로 밀려와 마음을 흔들고소중한 것들을 쓸어가 버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