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istmas Wish

Shining Tree를 푸르게 키워 주실 분은 김주연 님이에요.
달라스에서 17년 동안 학원을 운영하면서 학생들의 그림을 지도해 온 선생님이자 친구가 필요한 사람들의 따뜻한 지지자입니다.
무엇보다도 주연 님은 10년 넘게 일상의 소소한 이야기를 그림과 함께 글로 엮어내는 칼럼니스트에요.
각박한 우리네 일상생활에서 한 번쯤은 멈춰 서서 삶에 대해 생각을 해보게 되는 쉼터 같은 글을 소개하는 Shining Tree 입니다.

크리스마스의 낭만이 살아있는 ‘크리스마스 별장’을 그린 토마스 킨케이드(Thomas Kinkade)는 현존하는 현대화가 중에 가장 대중들에게 사랑받는 성공한 화가로 손꼽힙니다. 1958년 캘리포니아에서 태어나서 캘리포니아에서 대학을 졸업한 그는 1984년부터 그의 그림을 츨판 하기 시작하며 1999년에는 미국 예술 명예전당에 들어가며 지금까지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독실한 기독교자인 그는 유치원 시절부터 시작된 첫사랑인 부인 Nanette와 결혼하여 화목한 가정을 꾸려나가며, 그의 삶을 통하여 가지고 있는 삶의 가치를 전하고 있습니다. 그는 그가 그리는 그림 중에 아내에 대한 사랑과 찬사로서 ‘N’자를 숨겨놓는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1년에 1억 달러를 버는 성공한 화가로서의 삶은 가정생활을 중요시하는 그의 삶에 대한 존경심이 밑거름이기도 합니다.
예술은 사람의 심금을 울리며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 그 토마스 킨케이드, 나는 평화와 기쁨, 아름다움을 그리기 위해 노력한다는 그는 21세기의 밀레 빛의 화가로 불리고 있습니다. 그의 일대기는 ‘Thomas Kinkade’s home for Christmas’라는 영화로도 나와 있습니다.
토마스 킨케이드처럼 자기가 갖고 있는 재능으로 세상을 그가 꿈꾸는 아름다움으로 가득 채우고, 사람들의 마음에 따뜻한 빛을 비출 수 있는 사람이 진정 행복한 사람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여러분은 행복한 사람인지요?

작품명: ‘Christmas Evening’ by Thomas Kinkade, Oil Painting
“My Mission as an artist is to create glimpses of a world that is tranquil, peaceful and full of the beauty of God’s creation. That’s what I mean when I talk about Sharing The Light”

Share :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우리 기쁜 젊은 날, 떠나 볼까요?

만물의 영장인 인간뿐만이 아니라 모든 동물들의 삶을 보면 종족 보존의 법칙으로 후세를 보면 자연으로 돌아가는 게 이치인 것을 보면, 특별히 키운 것에 대한 공치사를 할 것도 없는데 쿨한 엄마라고 스스로 자처하던 필자도, 아이들이 성장하고 나이가 한 살 두 살 늘어나면서 그야말로 신파조로 ‘내가 너를 어떻게 키웠는데—‘하며 공치사를 남발 하고픈 마음이

왜 우리는 이기적일까?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옛말이 문득 생각이 나는데 옛날에는 아마 명예를 더 많이 중시했나 보다. 요즘의 세태를 보면 사람이 남기고 싶은 것은 과연 무엇일까 하는 궁금증을 자아낸다. 한 나라의 대통령을 지낸 일가도 외국에 세운 유령 회사를 통해 비자금으로 모아둔 돈이 흘러 나가 있는 것을 보면 명예는

4월의 카니발

21세기는 창의력의 시대라고 일컬어도 과언이 아닙니다. 창의력은 누구나 가지고 태어나지만 창의력이 키워지려면 주입식 교육이 아닌 창의력을 키워주는 교육 환경이 바탕이 되어야만 한다고 생각합니다. 창의력은 생각을 아이디어로 창출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머릿속에 떠오른 막연한 생각을 구체적으로 정리해서 남들과 다른 독창성을 가지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인 창의력은 급변하는 21세기에 회사의 흥망성쇠를 결정한다

의식의 반전

어느 즈음인지 모르게 나이 들어감을 인식하면서 건강과 안티 에이징이라는 문구를 접하면 더 호기심 있게 읽어보게 되고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을 느끼면서 상술에 유혹되는 건지 나이가 들어가는 것을 더 갑자기 유난을 떨면서 의식을 하게 된 건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운동을 정말 싫어하는 필자가 요즘 들어서 안 하던 스트레칭도 시작하고 운동에 관심을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어느 날 페르시아의 왕이 신하들에게마음이 슬플 때는 기쁘게기쁠 때는 슬프게 만드는 물건을 가져올 것을 명령했다. 신하들은 밤새 모여 앉아 토론한 끝에마침내 반지 하나를 왕에게 바쳤다.왕은 반지에 적힌 글귀를 읽고는크게 웃음을 터뜨리며 만족해했다.반지에는 이런 글귀가 새겨져 있었다.‘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슬픔이 그대의 삶으로 밀려와 마음을 흔들고소중한 것들을 쓸어가 버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