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Q의 현대시대

Shining Tree를 푸르게 키워 주실 분은 김주연 님이에요.
달라스에서 17년 동안 학원을 운영하면서 학생들의 그림을 지도해 온 선생님이자 친구가 필요한 사람들의 따뜻한 지지자입니다.
무엇보다도 주연 님은 10년 넘게 일상의 소소한 이야기를 그림과 함께 글로 엮어내는 칼럼니스트에요.
각박한 우리네 일상생활에서 한 번쯤은 멈춰 서서 삶에 대해 생각을 해보게 되는 쉼터 같은 글을 소개하는 Shining Tree 입니다.

며칠 전 동화책을 선물할 일이 있어서 서점에 들렀다가 재미있는 꾸며진 동화책들을 보면서 필자가 그 그림들에 반해서 책 구경하느라 시간 가는 줄을 몰랐습니다. 무관심하게 지나쳤던 동화책 섹션에는 재미있는 일러스트레이션 그림과 함께 움직이는 3D 효과까지 갖춰진 책들이 즐비하게 전시되어 어린이들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책보다 컴퓨터 게임에 더 친한 요즘 어린이들에게 사랑을 받으려면 책도 더욱 예쁘게 포장되고 발전하여야 하겠지만 이제 도서관도 전자 도서관이 나오는 시대에서 어쩌면 아날로그 시대의 처절한 몸부림 같아서 안쓰러운 느낌도 들었습니다. 어린이들의 시선을 사로잡아 지적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좋은 책들이 많이 출판되려면 사명감 있는 출판사, 동화 작가와 일러스트레이터가 많이 배출되어야 하겠다는 생각을 잠시 해보았습니다.

오늘날의 세상에서의 성공에 요구되는 지수는 IQ(지능 지수)에서 EQ(감성지수),EQ(감성 지수)에서 CQ(Curiosity Quotient:호기심 지수)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아인슈타인 박사가 “나에게는 특별한 재능은 없다. 다만 넘쳐나는 호기심이 있을 뿐”이라고 말하곤 하였는데 그 호기심이 이 세상을 리드하는 중요 요소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현대가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입니다. 이런 사회의 흐름 속에 우리 자녀들에게 끊임없이 호기심을 자극하여 창의력을 키워주려는 부모의 노력도 절실한 시대가 오늘이기도 합니다. 방학 동안 자녀들과 함께 다니면서 직접 많이 보여주는 직접 경험과 함께 책을 통한 간접 경험이 어우러질 때 자녀들의 CQ 지수는 나날이 향상되어 가리라 생각합니다.

볼펜화가 이일은 미국 미술 대학에 드로잉 교재에 실릴 정도로 현대 미술계에서 선(Line) 라인을 확장시켰다는 평가를 받는 그의 ‘뉴 비전’ 개인전은 신선한 새로운 시각을 선사하였습니다. 홍익대학교 동문이기도 한 그는 홍익대학교를 졸업하고 도미하여 Pratt Institute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1981년 브루클린 미술관에서 볼펜 드로잉 그림을 내면서 30여 년간 볼펜만으로 그림을 그려왔습니다. 다인종의 용광로인 뉴욕에서 생존하려면 남들과 달라야 한다고 생각했고 그림의 기본적인 선(Line)으로 돌아간다는 의미로 볼펜을 택했다는 그의 작품들은 2007년 뉴욕타임스의 극찬을 받기도 하며 미국 전역의 대형 뮤지엄에서 개인전을 가질 만큼 이제 인정을 받고 있습니다. 

그의 작품들은 가느다란 작은 선을 무수히 덧칠하는 방식으로 표현되는데 200호가량의 큰 작품을 완성하려면 볼펜 600여 자루가 소비된다고 합니다. 끊임없이 몸을 움직이면서 만들어내는 그의 선들은 그의 체온으로 더욱 부드러워지는 볼펜으로 인해 만들어지는 그의 Performance의 결정체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작가로 인정받기 전인 80년대 초반에는 신발, 옷 가게 등에서 일하면서 어렵게 그림을 그린 그의 열정을 전시회에 같이 전시된 수북이 쌓인 볼펜들이 대변해 주고 있었습니다. 새로운 시각으로 새로운 장르를 개척한 볼펜화가 이일의 작품과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으로 휴대폰의 새로운 장르를 열어가는 아이폰은 이 시대에 필요한 CQ가 만들어준 결정체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우리들의 호기심 지수는 얼마일까요?

작품명: ‘BL-095’ by IL Lee, 2008, Ballpoint pen on canvas, 87″ × 144″

Share :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우리 기쁜 젊은 날, 떠나 볼까요?

만물의 영장인 인간뿐만이 아니라 모든 동물들의 삶을 보면 종족 보존의 법칙으로 후세를 보면 자연으로 돌아가는 게 이치인 것을 보면, 특별히 키운 것에 대한 공치사를 할 것도 없는데 쿨한 엄마라고 스스로 자처하던 필자도, 아이들이 성장하고 나이가 한 살 두 살 늘어나면서 그야말로 신파조로 ‘내가 너를 어떻게 키웠는데—‘하며 공치사를 남발 하고픈 마음이

왜 우리는 이기적일까?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옛말이 문득 생각이 나는데 옛날에는 아마 명예를 더 많이 중시했나 보다. 요즘의 세태를 보면 사람이 남기고 싶은 것은 과연 무엇일까 하는 궁금증을 자아낸다. 한 나라의 대통령을 지낸 일가도 외국에 세운 유령 회사를 통해 비자금으로 모아둔 돈이 흘러 나가 있는 것을 보면 명예는

4월의 카니발

21세기는 창의력의 시대라고 일컬어도 과언이 아닙니다. 창의력은 누구나 가지고 태어나지만 창의력이 키워지려면 주입식 교육이 아닌 창의력을 키워주는 교육 환경이 바탕이 되어야만 한다고 생각합니다. 창의력은 생각을 아이디어로 창출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머릿속에 떠오른 막연한 생각을 구체적으로 정리해서 남들과 다른 독창성을 가지고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인 창의력은 급변하는 21세기에 회사의 흥망성쇠를 결정한다

의식의 반전

어느 즈음인지 모르게 나이 들어감을 인식하면서 건강과 안티 에이징이라는 문구를 접하면 더 호기심 있게 읽어보게 되고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을 느끼면서 상술에 유혹되는 건지 나이가 들어가는 것을 더 갑자기 유난을 떨면서 의식을 하게 된 건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운동을 정말 싫어하는 필자가 요즘 들어서 안 하던 스트레칭도 시작하고 운동에 관심을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어느 날 페르시아의 왕이 신하들에게마음이 슬플 때는 기쁘게기쁠 때는 슬프게 만드는 물건을 가져올 것을 명령했다. 신하들은 밤새 모여 앉아 토론한 끝에마침내 반지 하나를 왕에게 바쳤다.왕은 반지에 적힌 글귀를 읽고는크게 웃음을 터뜨리며 만족해했다.반지에는 이런 글귀가 새겨져 있었다.‘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슬픔이 그대의 삶으로 밀려와 마음을 흔들고소중한 것들을 쓸어가 버릴